읽으면서 과연 나에게 필요한 내용인지 생각해보게 되었다.
도움이 될 순 있으나, 현재 내상황에서 내가 거시경제가 돌아가는 상황을 이해하면서 알필요가 있을까?
구체적인 목표가 없기 때문에 현재 읽은 이책은 나에게 크게 도움이 되지 못했다.
하지만, 아래봐야할 지표들은 한번씩 우리나라의 경기 상황을 체크할 때 볼 필요는 있을 것 같아서 메모한다.
봐야할 경제 지표
1. 경제연구소 - 미래전망보고서
2. 동행종합지수 - 현재의 경기상태 종합적 지표
3. 한국은행 - 국내총생산, 통화 및 금리, 환율, 국제수지 등
4. 통계청 - 산업활동동향, 소비자 물가, 고용 등
5. 산업통상자원부 - 수출입 동향(매월 1일 발표를 한다. 우리나라가 가장 빠름)
6. 해외 지표 - 인베스팅 / 블롬보그 등이 있음
7. 추가) 메르의 추천 - 보험의 해약환급금과 효력상실 추이 -생명보험협회(+ 매달 보험사별로 업데이트 해줌)
사람들이 힘들어지면 우선 예금을 찾아쓰고, 부족하면 대출을 받고, 더 힘들어지면 정기예금을 깨고,
가장 마지막으로 깨는게 보험이다.
보험을 깨고 난 뒤에도 해결이 되지 않으면, 대출이자와 카드값 등을 연체를 하기 시작한다.
가계대출이 늘어난 상태에서 직장인은 실직하고 자영업자들은 매출이 줄어들고 있음.
과거 패턴을 보면 문제가 터지기 6개월쯤 전부터는 보험해약과 실효가 폭발적으로 늘어나기 시작한다.
상반기는 괜찮을듯하나, 하반기를 잘 지켜봐야할 것 같다.
'Self-development > Read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엔화의 미래 (0) | 2024.04.16 |
---|---|
원씽 (0) | 2024.02.14 |
[서평] 설민석의 세계사 대모험 (4편, 5편 - 로마, 피렌체) (0) | 2023.11.10 |
[서평] 진짜 하루만에 이해하는 반도체 산업 (0) | 2023.11.09 |
[서평] 이차전지 승자의 조건 (0) | 2023.10.04 |